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팔 저림과 통증이 계속된다면? ‘흉곽출구증후군’을 의심

by 이웃집 도수치료사 2025. 5. 27.

 

단순한 근육통이 아니고, 팔 저림이나 손 감각 이상이 반복된다면
흉곽출구에 위치한 신경이나 혈관이 압박되는
흉곽출구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흉곽출구증후군이란 무엇인가요?

 

 

가슴문 증후군은 목과 어깨 사이, 즉 '흉곽 출구(thoracic outlet)' 부위에서
신경·혈관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신경혈관 증후군
입니다

이 부위에는 팔로 내려가는 신경 다발(상완신경총), 쇄골하정맥, 쇄골하동맥이 지나가며
이들이 늑골, 쇄골, 근육(사각근, 소흉근 등)에 눌리면서
팔 저림, 통증, 감각 이상, 근력 저하 등이 생깁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 대표적인 자가 증상 점검

증상 설명 특징

팔 저림 신경 압박으로 생김 지속적 또는 자세에 따라 악화
손 감각 저하 특히 새끼손가락·약지 쪽 장갑 낀 느낌
손에 힘 빠짐 물건 자주 떨어뜨림 근육 약화 동반
팔 색 변화 혈관 압박 시 푸르거나 창백 정맥 흐름 차단 시
목·어깨 통증 사각근, 승모근 경직 머리 돌릴 때 통증도 발생

 

자세를 바꿨을 때 증상이 심해지면 흉곽출구 증후군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주요 원인과 위험 요인 분석

 

 

흉곽출구는 공간이 좁아 조금만 이상이 생겨도
신경이나 혈관이 쉽게 압박됩니다

원인 설명 예시

잘못된 자세 거북목, 어깨 내림 자세 컴퓨터 작업자
외상 사고 후 쇄골 또는 늑골 손상 교통사고, 낙상
해부학적 구조 선천성 1번 늑골 이상, 과도한 근육 발달 운동선수, 헬스 과훈련
반복 동작 팔을 자주 드는 직업 미용사, 조립 작업자

 

"특히 목과 어깨를 동시에 쓰는 직업군에 흔하게 나타납니다"


병원에서는 어떻게 진단할까?

 

흉곽출구 증후군은 MRI, 근전도(EMG), 혈류 초음파 등을 통해 진단되며
다음과 같은 특수 테스트로도 1차 판별이 가능합니다

  • Adson Test: 고개를 돌리고 숨 들이마실 때 맥박 약해짐
  • Roos Test: 팔을 들어 손 펌프 동작할 때 저림 유발
  • Wright Test: 팔 올리고 외전 시 통증 확인

검사 시 증상이 유발되면 병원 진료로 이어져야 합니다

 

🔗     목디스크? 이런 증상이라면 흉곽출구증후군 의심!(자가진단법 있음)

 


비수술 치료 방법은 어떻게 진행되나?

 

흉곽출구 증후군의 대부분은
비수술 치료와 생활 습관 교정으로 회복 가능합니다

  • 물리치료: 사각근, 소흉근 이완, 자세 교정 운동
  • 도수치료: 흉곽 유연성 회복 및 어깨 교정
  • 약물치료: 소염제, 근이완제 단기 사용
  • 자세훈련: 거북목 교정, 어깨 후인 자세 훈련
  • 스트레칭: 어깨와 가슴 앞쪽 근육 이완 스트레칭 루틴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수개월 내 증상이 현저히 개선됩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 보존적 치료에 6개월 이상 반응이 없는 경우
  • 혈관 증상이 심해 손색 변화나 혈전이 나타나는 경우
  • 근위축이 진행되는 신경 손상 단계

이 경우 신경 감압술, 소흉근 절제, 제1늑골 제거술 등을 통해
압박 부위를 외과적으로 해결하게 됩니다

"하지만 전체 환자의 90% 이상은 수술 없이도 관리 가능합니다"


일상생활 속 예방법과 관리법

 

 

  • 하루 3회 5분, 가슴과 어깨 스트레칭 실시
  • 의자에 앉을 땐 등 기대고 어깨 내리지 않기
  • 장시간 타자나 운전 시 1시간마다 휴식
  • 수면 시 베개는 목 높이에 맞추고 옆으로 오래 눕지 않기
  • 가슴 근육 강화보다 이완이 우선

"자세 교정만으로도 증상이 절반 이상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이 블로그 내용은 정보 제공 목적이지 의학적 조언이 아니며,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