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척추전방전위증, 허리디스크와 다른 ‘척추 미끄러짐’의 위험 신호

by 이웃집 도수치료사 2025. 6. 27.

“허리가 끊어질 듯 아프고, 다리까지 저린 증상이 반복되시나요?”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은
위쪽 척추뼈가 아래 척추뼈보다 앞으로 밀려나면서 생기는 구조적 불안정 질환으로
허리통증, 좌골신경통, 하지 저림·근력저하까지 유발할 수 있는 중증 허리질환입니다


 

척추전방전위증이란?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뼈(요추 또는 경추)가 정상 정렬에서 벗어나
앞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상태
를 의미합니다

흔히 허리디스크와 혼동되지만, 디스크가 아닌
뼈 자체의 위치 이상으로 생기는 신경 압박성 질환입니다
여성, 50대 이상, 요통 병력이 있는 분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척추전방전위증, 도대체 무슨병인가? / 일산백병원 신경외과 이병주


주요 증상과 구분 포인트

 

증상 특징

허리통증 장시간 서 있거나 걷다 보면 심해짐
엉치·다리 저림 좌골신경 자극 시 방사통
허리 굽힐 때 통증 척추 정렬 더 악화
허리 뒤로 젖힐 때 불편감 신경관 더 좁아짐
다리 힘 빠짐·걸음 불편 신경 압박 심할 경우 운동장애 동반

 

"허리디스크는 디스크 돌출로 인한 신경 압박,
척추전방전위증은 ‘뼈 구조 자체의 밀림’으로 발생합니다
"


척추전방전위증의 주요 원인

  • 퇴행성 변화: 디스크·인대 약화로 척추 불안정
  • 협부 결손(협부성): 유년기 외상 또는 선천적 결손
  • 반복적 과신전 운동: 체조, 무리한 허리 젖힘 동작
  • 노화에 따른 인대 이완
  • 여성·폐경기 이후: 호르몬 변화 + 근육 약화

진단 방법

  • X-ray: 척추 뼈의 전위 정도 확인 (정지/굽힘/젖힘 자세에서 촬영)
  • MRI: 신경 압박, 디스크 동반 병변 확인
  • CT: 뼈 구조 정밀 확인
  • 전위 정도 분류
    1도: 25% 이하
    2도: 25~50%
    3도 이상: 50% 초과 → 수술 고려

 

비수술적 치료 방법

 

치료법 대상 효과

약물치료 초기, 경도 통증 소염진통제, 근이완제
물리치료 근육 강화, 정렬 안정 허리 주변 근육 재활
도수치료 정렬 조정, 통증 완화 장기적인 자세 교정
체외충격파 만성 통증 통증점 제거 및 염증 완화
보조기 착용 고령자 또는 활동 시 척추 안정화
신경주사치료 신경통, 하지 방사통 염증 완화, 즉각 통증 감소

수술이 필요한 경우

  • 보존치료 3개월 이상 효과 없음
  • 전위 3도 이상 + 하지 근력 저하
  • 척추관 협착 동반된 심한 신경 증상
    → 이 경우 척추 유합술(척추 고정 수술) 고려

일상 속 관리 및 예방법

  • 무거운 물건 허리 굽혀 들지 않기 (스쾃 자세 필수)
  • 복부·코어 근육 강화 운동 지속
  • 허리 뒤로 젖히는 동작(신전) 반복 피하기
  • 체중 조절, 특히 복부비만 관리
  • 장시간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 최소화

 

척추전방전위증은 허리뼈가 앞으로 밀려나는 구조적 질환으로
방치하면 신경 압박과 운동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꾸준한 비수술적 관리로
수술 없이도 통증과 기능 회복이 가능합니다

 



반응형